목록 만드는 방법 - ol, ul, dl

순서대로 목록을 나열하는 방법과 나열된 목록의 번호를 수정하는 방법
3 min read

목록에는 순서가 있는 목록(Ordered List), 순서가 필요하지 않은 목록(Unordered List), 설명 목록(Description List) 세 가지가 있습니다.

  • 순서가 있는 목록(OL)
  • 순서가 없는 목록(UL)
  • 설명 목록(DL)

순서 있는 목록

순서가 필요한 목록(Ordered List)은 1, 2, 3, ···처럼 차례대로 증가하는 번호가 붙는 목록입니다.

순서가 필요한 목록은 <ol> 태그로, 목록의 내용은 <li> 태그로 만듭니다.

<h1>Ordered List</h1>
<ol>
  <li>Lorem</li>
  <li>Ipsum</li>
  <li>Dolor</li>
</ol>

시작하는 번호를 지정하려면 다음와 같이 합니다.

<ol start="5">

특정 목록의 번호를 지정하려면 다음와 같이 합니다.

<li value="9">

번호 지정을 이용한 간단한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.

<ol start="5">
  <li>Lorem</li>
  <li>Ipsum</li>
  <li value="9">Dolor</li>
</ol>

숫자 이외에 알파벳, 로마자, 이미지 등으로 순서를 매길 수 있습니다. 이는 HTML보다 CSS를 이용하여 설정하는 게 좋습니다.

 

순서 없는 목록

순서 필요하지 않은 목록(Unordered List)은 번호 대신 점이나 사각형 등의 도형이 목록 앞에 붙습니다.

순서 필요하지 않은 목록은 <ul> 태그로, 목록의 내용은 <li> 태그로 만듭니다.

<h1>Unordered List</h1>
<ul>
  <li>Lorem</li>
  <li>Ipsum</li>
  <li>Dolor</li>
</ul>

 

목록 안의 목록

<li> 태그를 생략하고 목록 안에 또 다른 목록을 넣을 수 있습니다.

<h1>1박 2일 가족 여행 코스</h1>
<ol>
  <li>1일차
    <ol>
      <li>해녀박물관</li>
      <li>낚시체험</li>
      <li>한라수목원</li>
    </ol>
  </li>
  <li>2일차
    <ul>
      <li>송훈랜드
        <ul>
          <li>하이브레드</li>
          <li>크라운돼지</li>
        </ul>
      </li>
      <li>만장굴</li>
      <li>카약체험</li>
    </ul>
  </li>
  <li>3일차</li>
</ol>

 

설명 목록

설명 목록(Description List)은 용어와 그 뜻을 나열할 때 사용합니다. 예를 들어 '단어/정의' 목록이나 '질문/답' 목록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설명 목록은 <dl>로, 용어 및 제목은 <dt>로, 그 뜻과 설명은 <dd>로 만듭니다.

<h1>제주 올레길</h1>
<dl>
  <dt>올레 1코스</dt>
  <dd>코스 : 시흥 초등학교 옆 - 갯골 생태 공원</dd>
  <dd>거리 : 14.6km(4~5시간)</dd>
  <dd>난이도 : 중</dd>
  <dt>올레 2코스</dt>
  <dd>코스 : 갯골 생태 공원 - 은평 교회</dd>
  <dd>거리 : 10km(3~4시간)</dd>
  <dd>난이도 : 중</dd>
</dl>

 

사용자가 여러 옵션 중에서 선택하도록 하고 싶을 때 드롭다운 목록을 사용합니다. 드롭다운 목록이란 클릭했을 때 옵션들이 요소 아래쪽으로 펼쳐지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입니다. 공간을 최소한을 사용하면서 여러 옵션을 표시하려면 선택 가능한 목록을 만들 수 있습니다.

선택 가능한 목록을 만드는 방법 - select, optgroup, datalist

 

기타 HTML 참조

You may like these posts

  • 체크박스 체크박스는 두 개 이상 여러 가지를 선택해야 할 경우 사용합니다. 클릭하면 선택되고, 다시 클릭하면 선택이 해제됩니다. 체크박스는 <input> 태그로 만듭니다.   기본형 <input type="checkbox" name="xxx" value=…
  • placeholder 무엇을 입력해야 하는지 안내하는 문구를 넣고 싶다면 placeholder를 사용합니다. 예를 들어 '네이버' 같은 포털 사이트의 로그인 창에서도 따로 '아이디'나 '비밀번호' 같은 제목을 붙이지 않고 입력 필드 안에 '아이디' 나 '비밀번호'를 표시해 놓아 사용자가 알…
  • 라디오 버튼 라디오 버튼은 여러 개의 항목 중에서 하나만 선택하도록 하는 동그란 버튼입니다. 라디오 버튼은 <input> 태그로 만듭니다.   기본형 <input type="radio" name="xxx" value="yyy" checked> …
  • 인용 다른 블로그나 웹 사이트의 글을 인용할 경우, 인용임 나타내는 태그에는 <blockquote>와 <q>가 있습니다. <blockquote> 태그는 새로운 문단에서 인용하는 블록 요소이고, <q> 태그는 문단 안에서 인용할 때 사용하는 인라인 …
  • pre HTML에서는 아무리 많은 공백을 넣더라도 브라우저 창에는 한 개의 공백만 표시됩니다. 연속한 여러 개의 빈칸이나 탭, 줄바꿈을 하나의 빈 칸으로 인식하고 페이지의 내용이 한 줄로 표시합니다. 만약 입력한 그대로 출력되도록 하려면 <pre> 태그를 이용합니다. …
  • 사용자가 여러 옵션 중에서 선택하도록 하고 싶을 때 드롭다운 목록을 사용합니다. 드롭다운 목록이란 클릭했을 때 옵션들이 요소 아래쪽으로 펼쳐지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입니다. 공간을 최소한을 사용하면서 여러 옵션을 표시하려면 드롭다운 목록이 가장 적당합니다. 목차 select …

Post a Commen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