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미지 삽입하는 방법 - img

이미지를 삽입하고 하이퍼링크와 가로 세로 크기를 수정하는 방법
3 min read

img

<img> 태그는 HTML 문서에 이미지를 삽입하는 태그입니다.

 

기본형

<img src="images.jpg" alt="No image" width="540" height="360">

주요 속성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• src : 이미지의 경로(URI)
  • alt : 이미지를 설명해주는 대체 텍스트
  • width : 이미지의 가로 크기
  • height : 이미지의 세로 크기

 

src - 이미지 파일 경로

이미지를 HTML 문서에 넣으려면 src 속성에 정확한 파일 경로를 지정해야합니다. 경로가 정확하지 않다면 웹 문서에서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습니다.

웹 상의 링크를 복사해 이미지 경로 지정하기

인터넷에 올라와 있는 이미지 링크를 복사해 이미지 경로를 지정해 보겠습니다. 크롬 브라우저에서는 웹 페이지에 넣고 싶은 이미지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[ 이미지 주소 복사 ] 를 선택하면 이미지 경로를 알 수 있습니다. 이렇게 복사한 이미지 파일의 경로를 src 속성 값으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.

<img src="https://www.blogger.com/img/logo_blogger_40px.png">

 

alt - 이미지를 설명해주는 대체 텍스트

alt 속성은 이미지를 설명하는 대체 텍스트를 삽입할 때 사용합니다. 대체 텍스트란 무엇이고 언제 사용할까요?

웹 페이지에 삽입한 이미지는 시각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시각 장애인들은 그 내용을 알 수 없습니다. 웹 문서를 읽어주는 화면 낭독기도 문서 상의 텍스트만 읽어주기 때문에 이미지를 만나면 그대로 건너 뜁니다. 하지만 <img> 태그의 alt 속성을 작성하면 이미지에 대한 설명을 넣을 수 있고 시각 장애인에게 읽어 줄 수 있습니다.

<img src="home.jpg" alt="홈으로 가기">

하지만 특별한 의미 없이 화면을 꾸미기 위해 사용한 이미지에는 alt 속성에 대체 텍스트를 넣지 않아도 됩니다.

<img src="app.gif" alt="">

 

width, height - 이미지 크기 조정

이미지 파일을 웹 페이지에 추가 할 때 브라우저 창에 원하는 크기로 조정해 넣고 싶다면 width 속성과 height 속성을 사용하면 됩니다. width 속성과 height 속성을 사용하지 않으면 원본 그대로 표시됩니다.

이미지 파일의 용량은 그대로 두면서 웹 사이트의 디자인에 따라 이미지를 작게 또는 크게 표시해야 할 경우 이 속성을 사용하면 유용합니다.

다만, 작은 이미지를 크게 표시할 경우 화질이 나빠질 수 있습니다.

 

예제

예제 1

  • width, height 속성을 정하지 않으면, 이미지 원본 크기 그대로 나옵니다.
  • 만약 지정한 경로에 이미지가 없다면, alt 속성에 있는 값이 출력됩니다.
<img src="//bit.ly/2GrygUe" alt="My Image">
<img src="//bit.ly/2GrygUe_" alt="My Image">

 

예제 2

  • width 속성으로 가로 크기만 정하면 세로 크기는 원본의 가로 세로 비율에 맞게 정해집니다.
  • height 속성으로 세로 크기만 정하면 가로 크기는 원본의 가로 세로 비율에 맞게 정해집니다.
  • 가로 크기와 세로 크기를 동시에 정하면 원본의 가로,세로 비율과 상관없이 설정한 크기로 나옵니다.
<img src="//bit.ly/2GrygUe" alt="My Image">
<img src="//bit.ly/2GrygUe" alt="My Image" width="100">
<img src="//bit.ly/2GrygUe" alt="My Image" height="150">
<img src="//bit.ly/2GrygUe" alt="My Image" width="100" height="200">

 

예제 3

  • 첫번째 이미지는 클릭하면 현재 창에서 이미지를 표시합니다.
  • 두번째 이미지는 클릭하면 새 창에서 이미지 표시합니다.

 

이미지 도구

구글 드라이브로 이미지 링크 만들기 Blogger 사진 관리하기

 

기타 HTML 참조

You may like these posts

  • placeholder 무엇을 입력해야 하는지 안내하는 문구를 넣고 싶다면 placeholder를 사용합니다. 예를 들어 '네이버' 같은 포털 사이트의 로그인 창에서도 따로 '아이디'나 '비밀번호' 같은 제목을 붙이지 않고 입력 필드 안에 '아이디' 나 '비밀번호'를 표시해 놓아 사용자가 알…
  • 라디오 버튼 라디오 버튼은 여러 개의 항목 중에서 하나만 선택하도록 하는 동그란 버튼입니다. 라디오 버튼은 <input> 태그로 만듭니다.   기본형 <input type="radio" name="xxx" value="yyy" checked> …
  • pre HTML에서는 아무리 많은 공백을 넣더라도 브라우저 창에는 한 개의 공백만 표시됩니다. 연속한 여러 개의 빈칸이나 탭, 줄바꿈을 하나의 빈 칸으로 인식하고 페이지의 내용이 한 줄로 표시합니다. 만약 입력한 그대로 출력되도록 하려면 <pre> 태그를 이용합니다. …
  • <label> 태그는 양식에 제목이나 설명을 덧붙이기 위한 것입니다. 라벨(label) 이란 입력창 옆에 'ID' 나 '비밀번호' 처럼 붙여 놓은 텍스트를 말합니다. <label> 태그를 사용하면 폼 요소와 라벨 텍스트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브라우저가 인식할 수 있습…
  • 인용 다른 블로그나 웹 사이트의 글을 인용할 경우, 인용임 나타내는 태그에는 <blockquote>와 <q>가 있습니다. <blockquote> 태그는 새로운 문단에서 인용하는 블록 요소이고, <q> 태그는 문단 안에서 인용할 때 사용하는 인라인 …
  • 체크박스 체크박스는 두 개 이상 여러 가지를 선택해야 할 경우 사용합니다. 클릭하면 선택되고, 다시 클릭하면 선택이 해제됩니다. 체크박스는 <input> 태그로 만듭니다.   기본형 <input type="checkbox" name="xxx" value=…

Post a Commen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