글자에 그림자 효과를 주는 방법 - text-shadow

텍스트에 그림자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. 그림자 효과는 본문에서 자주 사용하면 지저분해 보이지만 사이트 제목이나 강조해야 할 글자에 사용하면 글자를 눈에 띄게 할 수 있습니다.
2 min read

텍스트에 그림자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. 그림자 효과는 본문에서 자주 사용하면 지저분해 보이지만 사이트 제목이나 강조해야 할 글자에 사용하면 글자를 눈에 띄게 할 수 있습니다.

 

text-shadow

text-shadow는 글자에 그림자 효과를 주어 텍스트를 좀 더 입체적으로 보이게 하는 속성입니다.

 

기본형

text-shadow : offset-x | offset-y | blur-radius | color | none
  • offset-x : 그림자의 가로 거리를 정합니다. (필수)
  • offset-y : 그림자의 세로 거리를 정합니다. (필수)
  • blur-radius : 번짐 정도를 정합니다. (기본값 0)
  • color : 그림자 색상을 정합니다.
  • none : 글림자 효과를 없앱니다.

 

예제

예제 1

offset-x 속성 값을 증가시키면 그림자의 위치가 오른쪽으로 이동합니다.

<p class="s1">Lorem ipsum</p>
<p class="s2">Lorem ipsum</p>
<p class="s3">Lorem ipsum</p>
.s1 {
  text-shadow: 2px 2px 2px gray;
}
.s2 {
  text-shadow: 4px 2px 2px gray;
}
.s3 {
  text-shadow: 6px 2px 2px gray;
}

 

예제 2

offset-y 속성 값을 증가시키면 그림자의 위치가 아래로 이동합니다.

<p class="s1">Lorem ipsum</p>
<p class="s2">Lorem ipsum</p>
<p class="s3">Lorem ipsum</p>
.s1 {
  text-shadow: 2px 2px 2px gray;
}
.s2 {
  text-shadow: 2px 4px 2px gray;
}
.s3 {
  text-shadow: 2px 6px 2px gray;
}

 

예제 3

blur-radius 속성 값을 증가시키면 그림자가 번지고 흐려집니다.

<p class="s1">Lorem ipsum</p>
<p class="s2">Lorem ipsum</p>
<p class="s3">Lorem ipsum</p>
.s1 {
  text-shadow: 2px 2px 2px gray;
}
.s2 {
  text-shadow: 2px 2px 4px gray;
}
.s3 {
  text-shadow: 2px 2px 6px gray;
}

 

예제 4

그림자 속성 값을 쉼표로 구분하여 여러 번 쓰면 여러 개의 그림자가 생깁니다.

맨 먼저 지정한 그림자 값이 텍스트에 가장 가까히 표시됩니다.

.s1 {
  color: #000;
  text-shadow: 0px 0px 4px #ccc, 0px -5px 4px #ff3, 2px -10px 6px #fd3, -2px -15px 11px #f80, 2px -19px 18px, #f20;
}

 

기타 CSS 참조

You may like these posts

  • 반응형 레이아웃 모바일 화면을 위해 가로 크기를 100%로 했을 때, 안쪽의 내용이 길어지면 줄바꿈이 되어 크기를 유지하거나 스크롤바가 생깁니다. 하지만 레이아웃이 변경되는 것을 원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. 해결 방법을 아래의 예제를 통해서 살펴보겠습니다.   예제 다음은 표의 최소 가로…
  • CSS3의 animation 속성을 사용하면 자바스크립트나 플래시를 사용하지 않고도 웹 요소에 애니메이션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. 목차 @keyframes animation-name animation-duration animation-timing…
  • border-collapse:separate를 사용해 셀들을 분리했을 경우, empty-cells 속성을 사용해 내용이 없는 빈 셀들의 표시 여부를 지정합니다. empty-cells empty-cells은 표에서 빈 셀의 테두리를 표시할지 말지는 정하는 속성입니다.   기본형 empt…
  • transition 트랜지션(transition)은 시간에 따라 웹 요소의 스타일 속성이 조금씩 바뀌는 것을 말합니다. 스타일이 바뀌는 시간을 조절하면 애니메이션 효과도 낼 수 있습니다. CSS3 트랜지션을 실행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여러 속성이 사용됩니다. 각 속성에 대한 자세한 대용은 이어서 …
  • display 속성값으로 table, table-row, table-cell 등을 사용해서 요소를 표(table)처럼 표현할 수 있습니다. display 속성값 중 표와 관련된 값들 표처럼 보이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속성값들은 다음과 같습니다. table : <table> 요소처럼 표…
  • 표 크기 고정시키는 방법 표(table)는 width 속성으로 가로 크기를 정할 수 있습니다. 다음은 가로 크기가 250px인 간단한 표입니다. 표 안의 내용이 길면 줄바꿈되면서 크기를 유지합니다. <table> <tr> …

Post a Commen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