가상 요소와 가상 클래스 순서

가상 선택자를 링크와 관련해 사용할 떄는 선택자 순서에 주의해야 합니다. 순서가 바뀌면 스타일을 정의하더라고 제대로 적용되지 않습니다.
2 min read

가상 선택자를 링크와 관련해 사용할 때는 선택자 순서에 주의해야 합니다. 순서가 바뀌면 스타일을 정의하더라고 제대로 적용되지 않습니다.

가상 요소와 가상 클래스 순서

  • 가상 요소를 이용하면 특정 요소 앞에 텍스트이나 이미지를 넣을 수 있습니다.
  • HTML을 변경하지 않고 요소를 추가할 수 있는 유용한 선택자입니다.

 

예제 1

다음은 가상 요소를 이용하여 Hello라는 문자열을 추가한 예제입니다.

<h1>everyone</h1>
h1:before {
  content: "Hi, ";
  color: red;
}

 

예제 2

다음은 가상 클래스 hover를 이용하여 요소에 마우스를 올렸을 때 글자 색을 파랗게 효과를 준 예제입니다.

h1:before {
  content: "Hi, ";
  color: red;
}
h1:hover {
  color: blue;
}

가상 요소 :before 에는 글자 색이 파란색으로 적용되지 않습니다.

 

예제 3

가상 요소에도 적용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코드를 추가해도 적용되지 않습니다.

h1:before {
  content: "Hi, ";
  color: red;
}
h1:hover {
  color: blue;
}
h1:before:hover {
  color: blue;
}

이유는 순서가 잘못되었기 때문입니다.

 

예제 4

다음과 같이 [가상 클래스 - 가상 요소] 순으로 해야 적용됩니다.

h1:before {
  content: "Hi, ";
  color: red;
}
h1:hover {
  color: blue;
}
h1:hover:before {
  color: blue;
}

 

기타 CSS 참조

You may like these posts

  • !important CSS는 같은 속성을 여러 번 정의했을 때,나중에 설정한 값이 우선 순위로 적용됩니다. 만약 나중에 설정한 값이 적용되지 않게 하려면 !important를 속성값 뒤에 붙입니다.   기본형 selector { property: value !important; …
  • 스타일 속성을 적용하는 요소를 '선택자(selector)'라고 부릅니다. 이번에는 아이디 선택자와 클래스 선택자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. 목차 아이디 선택자 (ID Selector) 아이디 선택자는 특정 값을 id 속성(attribute)의 값으로 갖는 요소(element)를 선택…
  • 웹 문서 안에는 여러 개의 스타일 규칙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 이런 스타일 규칙들을 한눈에 확인하고 필요할 때마다 수정하기 쉽도록 한 군데 묶어 놓은 것을 '스타일 시트' 라고 합니다. 스타일 시트는 문서 안에서 사용할 스타일 규칙들을 정의한 '내부 스타일 시트'와 별도의 스타일 파일을 만들어 문…
  • 스타일 속성을 적용하는 요소를 '선택자(selector)'라고 부릅니다. 먼저 전체 선택자, 타입 선택자, 속성 선택자를 살펴보겠습니다. 목차 전체 선택자 (Universal Selector) 전체 선택자는 모든 HTML 요소를 선택합니다. 별표( * )로 나타냅니다. 예를 들…
  • HTML로는 웹 사이트의 내용을 나열하고 CSS로는 웹 문서의 디자인을 구성한다는 아이디어가 바로 웹 표준의 시작입니다. 이렇게 내용과 디자인이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사이트의 내용을 수정해야할 때도 디자인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고 내용만 수정할 수 있습니다. 또한 반대로 내용은 건드리지 않은 상태에서 스…
  • 선택자로도 지정하기 어려운 대상이 있습니다. 예를 들어 몇 번째 항목이라든가 문단의 첫 번째 글자 등의 경우 어떻게 지정해야 할까요? 이럴 때 가상 요소와 가상 클래스를 사용합니다. 가상 요소는 내용의 일부만 선택해 스타일을 적용할 때 사용합니다. 목차 가상 요소 가상 요소(Ps…

Post a Commen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