글꼴 바꾸는 방법 - font-family

웹 문서에서 사용할 글꼴은 font-family 속성으로 지정합니다. 이 속성은 body 태그를 비롯해 p 태그나 h1, h2, h3 태그처럼 텍스트를 사용하는 요소들에서 주로 사용합니다.

웹 문서에서 사용할 글꼴은 font-family 속성으로 지정합니다. 이 속성은 <body> 태그를 비롯해 <p> 태그나 <h1>, <h2>, <h3> 태그처럼 텍스트를 사용하는 요소들에서 주로 사용합니다.

기본형

font-family : font
  • font : family-name 또는 generic-family
  • family-name은 글꼴 이름입니다.
  • generic-family는 글꼴 유형입니다.
  • 글꼴 이름에 띄어쓰기가 있으면 작은 따옴표 또는 큰 따옴표로 감쌉니다.

 

글꼴 유형

글꼴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• serif : 삐침 있는 명조계열의 글꼴
  • sans-serif : 삐침 없고 굵기가 일정한 고딕계열의 글꼴
  • monospace : 글자 폭과 간격이 일정한 글꼴
  • cursive : 손으로 쓴 것 같은 필기계열의 글꼴
  • fantasy : 화려한 글꼴

 

여러 개의 글꼴 설정

글꼴을 여러 개 설정할 때는 쉼표로 구분합니다. 예를 들어

font-family : Georgia, "Times New Roman", serif;

다음과 같이 글꼴을 설정했을 때, 제일 먼저 Georgia 글꼴을 찾습니다. 해당 글꼴이 있다면 사용하고, 없다면 Times New Roman 글꼴을 사용합니다. 그 글꼴도 없다면 웹브라우저에서 설정한 명조 계열(serif)의 글꼴을 사용합니다.

글꼴은 접속한 기기에 설치되어 있는 글꼴을 사용합니다. 따라서 CSS로 설정한 글꼴이 없을 수도 있으므로, 마지막은 명조 계열(serif) generic-family로 정해두는 것이 좋습니다.

 

영어와 한글 글꼴을 다르게 하기

글꼴을 여러 개 설정했을 때, 첫번째 글꼴로 표현할 수 없는 것만 다음 글꼴을 사용합니다. 따라서 한글이 없는 글꼴을 앞에 두고, 한글 글꼴을 뒤에 두면 한글과 영어가 다른 글꼴로 표현됩니다.

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하면

font-family : Georgia, "Malgun Gothic", serif;

한글은 맑은 고딕, 나머지는 Georgia로 표현됩니다.

 

예제

<p class="a">font-family: Geogia;</p>
<p class="b">font-family: serif;</p>
<p class="c">font-family: sans-serif;</p>
<p class="d">font-family: monospace;</p>
<p class="e">font-family: cursive;</p>
<p class="f">font-family: fantasy;</p>
<p class="g">한글은 제주 고딕, 나머지는 Georgia</p>
@import url(//fonts.googleapis.com/earlyaccess/jejugothic.css);

.a { font-family: Georgia, serif; }
.b { font-family: serif; }
.c { font-family: sans-serif; }
.d { font-family: monospace; }
.e { font-family: cursive; }
.f { font-family: fantasy; }
.g { font-family: Georgia, "Jeju Gothic", serif; }

로딩 중... 잠시만 기다려주세요.
자바스크립트를 허용해주세요.

 

구글 웹폰트 사용하기

구글에서 제공하는 여러 웹폰트 중에서 한글 웹폰트를 사용해보세요.

구글 웹폰트 사용 방법

 

기타 CSS 참조

Post a Commen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