계산한 식의 결과를 속성값으로 사용하는 방법 - calc()

calc()는 괄호 안의 식을 계산한 결과를 속성값으로 사용하게 해주는 함수입니다. 예를 들어 font-size: calc( 10px + 10px ); 는 글자 크기를 20px로 만듭니다. 문법 +는 덧셈, -는 뺄셈, *는 곱셈, /는 나눗셈입니다. 곱셈과 나눗셈의
1 min read

calc()

calc()는 괄호 안의 식을 계산한 결과를 속성값으로 사용하게 해주는 함수입니다.

 

예를 들어

font-size : calc( 10px + 10px );

는 글자 크기를 20px로 만듭니다.

 

문법

연산자

  • +는 덧셈, -는 뺄셈, *는 곱셈, /는 나눗셈입니다.
  • 곱셈과 나눗셈의 좌우에는 공백이 없어도 됩니다.
  • 하지만, 덧셈과 뺄셈의 좌우에는 공백이 있어야 합니다.

 

계산 순서

  •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계산합니다.
  • 곱셈과 나눗셈을 먼저 하고, 덧셈과 뺄셈은 나중에 합니다.
  • 괄호가 있으면 괄호 안 부터 계산합니다.

 

예제

<p><b>width</b></p>
<div class="a">80%</div>
<div class="b">calc(80% - 20px)</div>
<div class="c">calc((40% * 2) - 40px / 2)</div>
<br/>
<p><b>font-size</b></p>
<div class="d">calc(4em / 3 + 5px)</div>
div {
  margin: 10px 0px;
  border: 1px solid #dadada;
}
.a {
  width: 80%;
}
.b {
  width: calc(80% - 20px);
}
.c {
  width: calc((40% * 2) - 40px / 2 );
}
.d {
  font-size: calc(4em / 3 + 5px);
}

You may like these posts

  • em, rem CSS의 길이 단위 중 em과 rem은 상대적으로 크기를 정하는 단위입니다.   em - 상위 요소 기준 em 단위는 상위 요소 크기의 몇 배인지 크기를 정합니다. 예를 들어 font-size: 1.5em; 은 글자 크기를 상위 요소 크기의 1.5 배로 하겠다는 뜻입니다. …
  • 배경색을 만드는 속성 배경 색상은 background-color 속성으로 만듭니다. table, tr, th, td, thead, tbody, tfoot에 배경색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.   예제 기본 모양 다음 표를 기본으로 하고, 배경색을 여러 곳에 추가해보겠습니다. …
  • 버튼 사이즈 조절하는 방법 기본 네모 박스에 CSS를 추가하여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. 몇 가지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<h3>Checkbox</h3> <input type="checkbox" id="cb"> <label for="cb"><…
  • 표 정렬하는 방법 표와 관련된 정렬에는 표 정렬, 셀 안의 내용 가로 정렬, 셀 안의 내용 세로 정렬이 있습니다. 표는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이 정렬됩니다. 표 <table> : 왼쪽 정렬 제목 셀 <th> : 가운데 정렬 내용 셀 <td> : 왼쪽 정렬 …
  • 표의 크기 정하는 방법 표와 셀의 크기를 직접 정할 때 사용하는 속성은 width 속성과 height 속성입니다.   예제 다음은 테두리만 추가한 간단한 표입니다. 여기에 CSS을 추가해서 크기를 변경해보도록 하겠습니다. <…
  • 체크박스와 라벨 체크박스(checkbox)와 라벨(label)을 나란히 놓았을 때, 높이가 잘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합니다. 높이를 조정하는 방법은 position 속성을 이용하는 것입니다. position 속성의 값을 relative로 정한 후 top 속성의 값을 적절히 정하면 됩니다. checkbox…

Post a Comment